경골 근위 절골술
경골 근위 절골술이란?
초,중기 관절염으로 다리가 O자형으로 휘어진 환자들에게 절골을 시행합니다. 휘어진 다리를 바르게 교정해 슬관절(무릎)의 안쪽에 집중된 체중의 부하를 바깥쪽으로 분산시켜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법입니다.
왜 경골 근위 절골술을 받아야 하나요?
• 하지(다리)의 비정상적인 축을 바로 잡아 슬관절(무릎)에 부하 되는 하중을 비교적 건강한 관절면에 가도록 하여 통증 감소 및 자기 관절 유지, O자형으로 변형된 관절을 바로 잡기 위해 시행합니다.
• O자형 다리는 휘어진 다리로 인해 통증을 호소하는 것 보다 미용상의 스트레스나 콤플렉스가 치료 동기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 하지만 휘어진 정도가 심할수록 나이가 들면 안쪽 관절구획에 실리는 체중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므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가속되고,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O자형 다리의 원인은?
잘못된 자세나 습관 등 후천적 원인으로 다리가 O자형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특히, 좌식생활과 다리를 꼬는 습관, 잘못된 보행습관, 높은 구두를 자주 착용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경골 근위 절골술
경골 근위 절골술 장점
• 비교적 젊고 활동적인 연령대에 수술이 가능합니다.
• 초,중기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
• 반월상 연골 손상과 관절염이 동반된 환자나 줄기세포 치료가 필요한 관절염 환자에게 절골술을 같이 시행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.
• 비교적 젊은 나이에 관절염 발생 시 자기 관절을 보존하여 인공관절 수술을 지연시키거나 시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경골 근위 절골술의 수술 방법
경골(정강이뼈)의 안쪽을 절개하여 경골의 윗부분을 절골합니다. 그다음 절골 부위에서 원하는 만큼 쐐기 모양으로 벌린 후, 평평한 모양의 금속판으로 내 고정을 하고 골 이식을 시행합니다.
O자형 다리 자가 진단법
발목에서 내측 복숭아뼈를 밀착시키고 두 발의 앞 발끝 부분이 서로 닿게 모은 상태로 똑바로 섰을 때 양 무릎 사이가 벌어지고 무릎 앞에 있는 슬개골이 안쪽을 향하고 있다면 O형 다리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.
수술 전(왼쪽), 수술 후(오른쪽)
수술 후 회복 및 효과
수술 직후부터 근력 강화 및 관절 운동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를 진행하고 2주 – 6주간 목발을 이용한 보행을 하게 됩니다. 경골 근위 절골술은 자신의 무릎 관절을 그대로 살리는 수술이기 때문에 인공관절 수술보다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과 마찬가지로 유지가 되고 스포츠 활동 또한 제한 없이 가능합니다.
수술 후 효과는?
무릎 관절 자체의 손상 없이 다리가 교정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, 그동안 무릎관절 중 한쪽에만 집중되어 있던 무게가 분산되기 때문에 통증이 줄고 관절염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 O자형 다리가 교정되면서 다리의 길이가 길어져 한쪽만 시행할 경우 수술한 쪽의 다리가 길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.
O자형 다리의 예방법
• 다리 꼬는 습관을 없앤다.
• 높은 굽의 구두를 신고 오랜 시간 걷거나 서 있는 것을 피한다.
• 팔자걸음, 안짱걸음, 종종걸음 등을 피하고, 항상 바른 자세, 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한다.